Linux

리눅스 3일차

느긋한모모 2024. 3. 12. 17:50

 

TCP - Transmission Control Protocol
: 전송 제어 프로토콜 ,  두 개의 호스트를 연결하고 데이터 스트림을 교환하게 해주는 중요한 네트워크 프로토콜
UDP - User Datagram Protocol

: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, 보안과 신뢰성보다 전송 속도와 효율성이 더 중요한 경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IP과 함께 오래 사용된 프로토콜

 

명령어 실행 사이클

1. fetch
2. decode
3. excute
4. save / store

 

시스템의 정상적인 실행 방해하는 요소
1. 잦은 입출력
2. 순환/반복문 (while / for)

 

vi 편집기 사용법

i: 입력
a : 현재 커서 다음
I : 현재 라인 맨 앞
A : 현재 라인 맨 끝
o : 현재 라인 아래
O : 현재 라인 위
h, j, k, l : 커서 옮기기 (왼쪽, 위, 아래, 오른쪽)

 

:w 저장

:wq! 강제 저장 후 종료

:q! 강제로 저장 하지 않고 종료

 

dd : 한줄 삭제
yy : 한줄 복사

p : 커서 아래 붙여넣기
P : 커서 위 붙여넣기

 

$ 라인 끝
G 파일 끝
:$  파일 끝

 

x : 삭제(delete)
X : 삭제(backspace)

 

J : 다음 라인을 현재 라인 끝에 올림

 

r : 한 문자 바꾸기

 

u : undo

d$ : 현재 커서에서 라인 끝 삭제
dG : 현재 커서에서 파일 끝 삭제

ggVGU : 전체 대문자 변경
ggVGu : 전체 소문자 변경

 

쉘 변수 vs 환경 변수
현재 쉘 <> 로그인 쉘 & 서브 쉘
set <> env
지역 변수 <> 전역 변수
변수명=값 <> export 변수명
unset 변수명 <> export -n 변수명

 

특수 접근 권한
4000 : setuid
: 파일을 실행하는 동안 잠시 소유자의 권한을 가짐..

2000 : setgid
: 파일을 실행하는 동안 잠시 소유자 그룹의 권한을 가짐..

1000 : sticky bit
: Public directory, 수정, 삭제는 본인만, 읽기는 누구나.
Web hard, anonymous ftp